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비트코인 시세 (과매도 구간에 진입)

by 전업하는 썸남 2025. 3. 10.
반응형

최근 가격 동향

2025년 3월 초, 비트코인은 약 99,000달러 수준에서 거래되었으나, 이후 하락세를 보이며 현재 약 81,316달러 수준까지 내려갔습니다.

이는 약 18%의 하락을 의미하며, 단기 투자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거래소 유출입 현황

최근 24시간 동안 거래소에서의 비트코인 유출량은 157 BTC(약 1,400만 달러)로, 이는 급격한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매도세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현재의 가격 변동성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고 보유를 지속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 동향

소액 투자자들은 최근 몇 달간 비트코인 매수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습니다. 1 BTC 미만을 보유한 투자자들은 하루 평균 약 10,627 BTC를 매수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72% 증가한 수치입니다. 반면, 1,000 BTC 이상을 보유한 대형 투자자들은 매도세를 보이고 있어, 단기적인 가격 하락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기술적 분석

비트코인의 최근 하락은 기술적 지표상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단기적인 반등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전반적인 시장 심리와 매크로 경제 지표를 고려할 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최근 트럼프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미국내 소비자 물가가 크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내 계란 가격입니다.  한국에서 12알 4,000원대에 팔리는 계란이 최근 미국에서는 14,000원대에 판매되고 있을 정도로 소비물가가 폭등하고 있습니다.

 

 

관세를 단기간에 올리는 것은 일견 미국에 유리해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국내 물가를 끌어올려 인플레이션을 야기하므로 결국은 그 피해가 미국국민에게 돌아가게 되어있습니다.

미국 연준은 올해 2번의 금리인하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렇게 된다면 오히려 치솟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금리를 인상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더욱 염려스러운점은 트럼프대통령의 관세정책이 잘 계산된 각본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온전히 대통령 개인의 순간적인 감정과 독단적인 판단에 의해서 발표와 연기가 반복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점은 시장의 불안과 악재에 대한 불확실성만 키우게 되므로 초대형 악재로 인식하게될 것입니다.

현재 미국주식시장과 가상화폐시장에서 나타나는 하방압력의 주요 원인이 바로 갈피를 잡을 수 없이 예측불허인 트럼프대통령의 관세정책입니다.

 

또한가지 염두에 두어야하는 점은 과거 중국 주도였던 가상화폐 시장이 중국의 가상화폐 금지 정책과 미국의 ETF 승인의 영향으로 이제는 완전히 나스닥지수에 커플링 되어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사실 가상화폐의 가장 큰 장점중 하나인 기존 제도권에서의 완전한 독립성과 투명성이 이제는 미국이라는 세계 최강의 패권국가의 의지만으로 그 시세가 좌지우지 되어버렸다는 점은 비트코인 창시의 원래 취지에는 전혀 맞지 않는 것이 되어버렸습니다.

이제 가상화폐 거래에 있어서는 글로벌 증시와 미국의 정책 등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비트코인은 최근 몇 주간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며, 단기 투자자들에게 도전적인 시장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소액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매수세와 대형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혼재하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판단과 철저한 시장 분석을 통해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